ISO 220002021-07-22T16:33:30+09:00

ISO 22000 인증

ISO 22000(식품안전경영시스템) 소개

ISO 22000의 도입 배경은 식품안전에 대한 요구사항을 국제적으로 표준화하기 위하여 제정되었으며, 특히 식품공급사슬의 모든 조직이 자율적으로 식품의 안전관리에 필요한 통합적 식품안전경영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함입니다. ISO/TC 34(식품기술위원회)에서 식품안전경영에 대한 국제표준인 2005년 9월 1일 공표하였으며, 최근 ISO 22000:2018의 새로운 개정판이 2018년 6월 19일에 발표되었습니다. 이번 개정판에서는 ISO 공통 경영시스템인 HLS 구조를 적용한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.

ISO 22000(식품안전경영시스템)이란?

ISO 22000
식품안전경영시스템(Food Safety Management System, FSMS)이란, 식품안전경영시스템의 개발, 이행 및 지속적 개선을 위한 효과적 체계를 제공하기 위해 ISO 9001 및 HACCP의 주요 요소를 통합하고 보완한 국제표준입니다. ISO 22000은 ISO 9001 및 ISO 14001 같은 그 밖의 경영 시스템과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시스템을 통합 할 수 있습니다.

ISO 22000 적용범위

식품이 인간의 소비 시점에서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, 식품공급사슬 내의 조직이 식품안전위해요소를 관리할 수 있음을 실증하기 위한 식품안전경영시스템 요구사항

조직의 규모와 무관하게 안전한 제품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실행하는 모든 조직

직접적인 조직 사료생산자, 수확자, 농가, 부재료 생산자, 식품제조업자, 도/소매업자, 식품서비스업자, 급식업자, 세척 및 위생서비스 제공업자, 운송업자, 보관업자, 유통 서비스업자 등
간접적인 조직 장비업자, 세척제·소독제·포장재 및 기타 식품접촉물질의 공급자 등

ISO 22000 시스템 흐름도

iso22000 시스템 흐름도

ISO 22000:2005 규격 요구사항

4. 식품안전경영시스템
4.1 일반요구사항
4.2 문서화 요구사항
5.경영책임
5.1 경영의지
5.2 식품안전방침
5.3 식품안전경영시스템 기획
5.4 책임과 권한
5.5 식품안전팀장
5.6 의사소통
5.7 비상시 대비 및 대응
5.8 경영검토
6. 자원관리
6.1 자원확보
6.2 인적자원
6.3 기반구조
6.4 업무환경
7. 안전한 제품의 기획 및 실현
7.1 일반사항
7.2 선행요건 프로그램
7.3 위해분석을 위한 예비단계
7.4 위효요소 분석
7.5 운영 PRPs의 설계 및 재설계
7.6 예비정보 및 PRP(s)와 HACCP 계획을 규정한 문서의 갱신
7.7 검증기획
7.8 식품안전경영시스템 운영
8. 식품안전경영시스템의 검증, 유효성 확인 및 개선
8.1 일반사항
8.2 모니터링 및 측정
8.3 식품안전경영시스템 검증
8.4 관리수단 조합의 유효성 확인
8.5 개선

HACCP과 ISO 22000:2005 의 비교

haccp과 iso22000 비교

식품안전경영시스템 인증 도입 필요성

지속적인 경제성장에 따른 식품 생산ㆍ유통 체계 및 생활양식의 변화, 대량생산ㆍ 판매, 가공식품 소비와 외식ㆍ집단급식의 증가에 기인한 식품매개 질병 발생 등으 로 인해 식품안전 보장을 위한 막대한 경제적 손실과 사회적 비용 발생이 초래되고 있습니다. 식품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필요성은 점차 증대되고 있으며 식품 안전경영시스템의 구축과 보급은 국민의 안전보건에 더욱 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.

식품안전경영시스템 인증 기대효과

  1. 품질, 안전 및 합법성을 포함하여 고객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납품을 통해 고객만족 실현
  2. 과정의 지속적 개선 및 이로 인한 운영 효율성을 높여 운영비 절감
  3.  필수 프로그램(PRP 및 OPRP의 프로그램) 및 HACCP을 ISO 9001의 PDCA 싸이클과 접목하여 식품안전경영시스템의 효율성 증대
  4. 이해관계자와의 관계 개선
  5. 법적 및 규제적 요구사항이 기업 및 고객에게 미치는 영향의 이해 및 내부심사와 관리 검토를 통한 준수 시험
  6. 제품의 높은 수준의 일관성 및 추적성 확보로 위기관리 개선
  7. 다른 국제규격 시스템과의 내부적인 조화 및 효율성 강화
  8. 다양한 식품안전 및 품질에 대한 완벽한 경영시스템의 실행 입증
  9. 국제규격 간의 상충되는 점을 없애고 조화된 부적합보고서 제공